대한민국 제21대 국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21대 국회는 2020년 5월 30일부터 2024년 5월 29일까지 운영되었으며, 국회의장과 국회부의장으로 구성된 국회의장단을 선출했다. 전반기에는 박병석, 김상희, 정진석이 의장단을 맡았고, 후반기에는 김진표, 김영주, 정진석, 정우택이 순차적으로 부의장직을 수행했다. 21대 국회는 상임위원장 선출 과정에서 여야 간 갈등을 겪었으며, 전반기와 후반기에 걸쳐 상임위원장단이 구성되었다. 잦은 의원들의 정당 이동과 의석 변동이 있었으며, 국회 회기별로 법률안 처리 및 공직선거법 개정 등의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 2022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보궐선거
2022년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보궐선거는 정진석 국회부의장의 사임으로 실시되었으며,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이 199표를 얻어 국회부의장으로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2022년 5월 4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진표 의원이 국회의장 후보로, 김영주 의원이 국회부의장 후보로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 - 한국
한국은 동아시아 한반도와 주변 섬으로 이루어진 국가로, 삼면이 바다에 둘러싸여 중국, 러시아와 접하며, 고대 삼국 시대를 거쳐 고려, 조선 왕조를 이어왔으나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남북으로 분단되어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나뉘어 상이한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 |
|---|---|
| 국회 정보 | |
| 이름 | 제21대 대한민국 국회 |
![]() | |
| 입법부 | 대한민국 국회 |
| 선거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정부 | 문재인 정부(~2022. 5. 9.) 윤석열 정부(2022. 5.10.~) |
| 이전 국회 | 제20대 국회 |
| 다음 국회 | 제22대 국회 |
| 의원 수 | 300명(지역구: 253석, 비례대표: 47석) |
| 의장 | |
| 전반기 | 박병석(2020. 6.~2022. 5.) |
| 후반기 | 김진표(2022. 7.~2024. 5.) |
| 부의장 | |
| 전반기 | 김상희(2020. 6.~2021. 8.) 김상희·정진석(2021. 8.~2022. 7.) |
| 후반기 | 김영주·정진석(2022. 7.~2022. 11.) 김영주·정우택(2022. 11.~2024. 5. 2.) 정우택(2024. 5.2.~2024. 5. 29.) |
| 임기 | |
| 임기(4년) 시작 | 2020년 5월 30일 |
| 임기(4년) 종료 | 2024년 5월 29일 |
| 의석 분포 (2020년 5월 30일) | |
![]() | |
| 더불어민주당 | 177석 |
| 국민의힘 | 103석 |
| 정의당 | 6석 |
| 국민의당 | 3석 |
| 열린민주당 | 3석 |
| 기본소득당 | 1석 |
| 시대전환 | 1석 |
| 무소속 | 6석 |
| 의석 분포 (2024년 5월 28일) | |
![]() | |
| 더불어민주당 | 155석 |
| 국민의힘 | 113석 |
| 정의당 | 6석 |
| 새로운미래 | 5석 |
| 개혁신당 | 4석 |
| 기본소득당 | 1석 |
| 자유통일당 | 1석 |
| 조국혁신당 | 1석 |
| 진보당 | 1석 |
| 무소속 | 9석 |
2. 국회의장단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국회의장단은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국회의장은 관례상 원내 제1당이 맡으며, 국회부의장은 여당과 야당이 각각 1명씩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5][6]
2022년 5월 29일, 전반기 국회의장단 임기가 종료되었으나, 후반기 의장단 선출이 지연되었다.[27][30]
2. 1. 전반기 국회의장단 (2020년 6월 ~ 2022년 5월)
국회의장단은 국회의장 1명과 국회부의장 2명으로 구성되며,[6] 국회의장은 관례상 원내 제1당이 맡는다.[5] 이에 따라, 선거 결과 제1당이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의장 및 국회부의장 1명을 내고,[6][7]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이 국회부의장 1명을 내게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5]더불어민주당은 2020년 5월 25일 당선자 총회를 열어 각각 단수 입후보한 6선의 박병석 의원을 국회의장 후보에, 4선 김상희 의원을 부의장 후보에 각각 추대·선출하였다.[10] 의장단은 국회법에 따라서 2020년 6월 5일까지 선출되어야 하는데, 정당간 이견으로 법정 시한을 넘길 것으로 예측되었다.[9]
2020년 6월 5일, 의장 및 여당 몫 부의장만 선출되었고, 야당 몫 부의장 선출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미루어졌다.[12] 국회의장에는 6선 박병석 의원, 여당 몫 부의장에는 4선 김상희 의원이 각각 선출되었다. 김상희 부의장은 대한민국 국회 역사 상 첫 여성 부의장이다.[12] 투표에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및 미래통합당을 제외한 야당 의원들이 참가하였다.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의 모두발언 이후 소속 의원들이 모두 본회의장에서 퇴장함에 따라, 야당 몫 부의장 선출은 미루어졌다.[12]
이후 2021년 8월 31일, 정진석 의원이 야당 몫 부의장에 선출되었다.[21][20]
2. 2. 후반기 국회의장단 (2022년 7월 ~ 현재)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후반기 의장단은 2022년 7월 4일에 여야 합의로 선출되었다.[28][29] 국회의장에는 5선의 김진표 의원이 선출되었고, 국회부의장 여당 몫에는 5선의 정진석 의원, 야당 몫에는 4선의 김영주 의원이 각각 선출되었다.[28][29]정진석 의원은 전반기 부의장(야당 몫)을 지낸 후, 후반기 부의장(여당 몫)에 재선출되었다. 당시 야당이었던 국민의힘은 전반기 야당 몫 부의장 선출이 1년 이상 지연된 것과 관련하여 정 부의장의 임기를 2022년 12월 말까지로 합의했었다.[28][29]
2022년 11월 10일, 정진석 의원이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으면서 사임했고, 사임 건이 의결되었다. 이후 보궐선거를 통해 국민의힘 5선 정우택 의원이 새로운 여당 몫 국회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
| 국회의장 | 김진표 | |
|---|---|---|
| 국회부의장 | 김영주(더불어민주당) (2024년 5월 2일 ~ 2024년 5월 29일 공석) | 정진석(국민의힘) (2022년 7월 4일 ~ 2022년 11월 10일) → 정우택(국민의힘) (2022년 11월 10일 ~ 2024년 5월 29일) |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 전반기에는 여야 간 원 구성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더불어민주당은 6개 상임위원장[14]을 먼저 선출했고,[14] 이후 국회의장이 상임위원회를 강제 배정하여 정보위원회[1]를 제외한 11개 상임위원장[15][16]을 추가로 선출했다.[15][16] 전해철 의원의 정보위원장 선출로 18개 상임위원장 구성이 마무리되었다.[19]
3. 상임위원회·상설특별위원회
2021년 7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상임위원장 배분에 합의했다. 더불어민주당이 11개, 국민의힘이 7개 위원회를 맡고, 후반기에는 국민의힘이 법제사법위원회를 맡는 조건이었다. 법제사법위원회 기능 제한, 심사 기간 단축 등을 위한 국회법 개정도 합의했다. 2021년 8월 31일, 상임위원장 10명이 교체되고 국회법이 개정되었으며, 정진석 의원이 부의장으로 선출되었다.[21][20]
2022년 7월 22일, 후반기 원 구성 협상이 완료되어 18개 상임위원장이 선출되었다.[31]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위원회는 1년마다 여야가 번갈아 위원장을 맡기로 합의했다. '형사사법체계개혁특별위원회'[32] 설치, 정치개혁위원회와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설치도 합의되었다.[32]
3. 1. 전반기 위원장 선출 (2020년)
여야 간 원 구성 협상이 난항을 겪던 중, 2020년 6월 15일 더불어민주당은 6개 상임위원회[14] 위원장을 선출하였다.[14] 이후 협상이 결렬되자, 6월 29일 국회의장이 상임위원회를 강제 배정하고 정보위원회[1]를 제외한 11개 상임위원회[15][16] 위원장을 선출하였다.[15][16] 7월 16일, 전해철 의원이 정보위원장으로 선출되면서 18개 상임위원장 선출이 완료되었다.[19]
| 위원회 | 이름 | 소속정당 | 비고 |
|---|---|---|---|
| 국회운영위원회 | 윤호중 | 더불어민주당 | 김태년→윤호중 |
| 법제사법위원회 | 박광온 | 더불어민주당 | 윤호중→공석→박광온 |
| 정무위원회 | 윤재옥 | 국민의힘 | 윤관석→윤재옥 |
| 기획재정위원회 | 윤후덕 | 더불어민주당 | |
| 교육위원회 | 조해진 | 국민의힘 | 유기홍→조해진 |
|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이원욱 | 더불어민주당 | 박광온→이원욱 |
|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이채익 | 국민의힘 | 도종환→이채익 |
| 외교통일위원회 | 이광재 | 더불어민주당 | 송영길→이광재 |
| 국방위원회 | 민홍철 | 더불어민주당 | |
| 행정안전위원회 | 서영교 | 더불어민주당 | |
|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김태흠 | 국민의힘 | 이개호→김태흠 |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이학영 | 더불어민주당 | |
| 보건복지위원회 | 김민석 | 더불어민주당 | 한정애→김민석 |
| 환경노동위원회 | 박대출 | 국민의힘 | 송옥주→박대출 |
| 국토교통위원회 | 이헌승 | 국민의힘 | 진선미→이헌승 |
| 정보위원회 | 김경협 | 더불어민주당 | 전해철→김경협 |
| 여성가족위원회 | 송옥주 | 더불어민주당 | 정춘숙→송옥주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이종배 | 국민의힘 | 정성호→이종배 |
3. 2. 후반기 위원장 선출 (2022년)
2022년 7월 22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는 후반기 원 구성 협상을 완료하고 18개 상임위원장을 선출하였다.[31] 여야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은 국민의힘이 각각 맡고, 1년 후 바꾸어 맡기로 합의했다. 또한 '사법개혁특별위원회' 명칭을 '형사사법체계개혁특별위원회'로 변경하기로 합의하고, 정치개혁위원회와 연금개혁특별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32]| 위원회 | 이름 | 소속 정당 |
|---|---|---|
| 국회운영위원회 | 권성동 | 국민의힘 |
| 법제사법위원회 | 김도읍 | 국민의힘 |
| 정무위원회 | 백혜련 | 더불어민주당 |
| 기획재정위원회 | 박대출 | 국민의힘 |
| 교육위원회 | 유기홍 | 더불어민주당 |
|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
|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홍익표 | 더불어민주당 |
| 외교통일위원회 | 윤재옥 | 국민의힘 |
| 국방위원회 | 이헌승 | 국민의힘 |
| 행정안전위원회 | 이채익 | 국민의힘 |
|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소병훈 | 더불어민주당 |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 윤관석 | 더불어민주당 |
| 보건복지위원회 | 정춘숙 | 더불어민주당 |
| 환경노동위원회 | 전해철 | 더불어민주당 |
| 국토교통위원회 | 김민기 | 더불어민주당 |
| 정보위원회 | 조해진 | 국민의힘 |
| 여성가족위원회 | 권인숙 | 더불어민주당 |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우원식 | 더불어민주당 |
4. 비상설특별위원회
| 위원회 | 위원장 | 소속정당 | 비고 | |
|---|---|---|---|---|
| 2020년 | 국회상임위원회 위원정수에 관한 규칙 개정 특별위원회 | 김영진 | 더불어민주당 | 2020년 6월 8일~2020년 6월 10일[13] |
| 2022년 | 형사사법체계개혁특별위원회 | ~2023년 1월 31일[32] | ||
| 정치개혁위원회 | ~2023년 4월 30일[32] | |||
| 연금개혁특별위원회 | ~2023년 4월 30일(필요시 연장)[32] |
5. 정당별 의석수 구성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구성된 제21대 국회는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 163석으로 원내 제1당이 되었고, 국민의힘의 전신인 미래통합당은 84석을 얻었다. 비례대표는 미래한국당 19석, 더불어시민당 17석, 국민의당과 열린민주당이 각 3석을 차지했다.
개원 후,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은 각각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으로 합당되었고, 의원들의 탈당, 입당, 당적 변경 등으로 의석수가 변동되었다.
의석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5. 1. 현재 정당별 의석수 (2024년 4월 26일 기준)
| 구분 | 정당 | 제21대 총선 결과 | 2024년 4월 26일 기준 | |||||
|---|---|---|---|---|---|---|---|---|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교섭단체 | -- 더불어민주당 | 163석 | - | 163석 | 139석 | 16석 | 155석 | |
| -- 국민의힘 | 84석 | - | 84석 | 90석 | 23석 | 113석 | ||
| 비교섭단체 | ||||||||
| -- 정의당 | 1석 | 5석 | 6석 | 1석 | 5석 | 6석 | ||
| -- 새로운미래 | - | - | - | 5석 | 0석 | 5석 | ||
| -- 개혁신당 | - | - | - | 3석 | 1석 | 4석 | ||
| -- 자유통일당 | 0석 | 0석 | 0석 | 1석 | 0석 | 1석 | ||
| -- 진보당 | 0석 | 0석 | 0석 | 1석 | 0석 | 1석 | ||
| -- 조국혁신당 | - | - | - | 1석 | 0석 | 1석 | ||
| -- 기본소득당 | 0석 | 0석 | 0석 | 0석 | 1석 | 1석 | ||
| -- 무소속 | 5석 | - | 5석 | 8석 | 1석 | 9석 | ||
| 재적 | 253석 | 47석 | 300석 | 249석 | 47석 | 296석 | ||
6. 의석 변동
7. 국회 회기별 국회 경과
제379회 국회는 제21대 국회가 구성된 이후 처음 열린 임시회로서 김태년, 배진교, 김진애 외 185인으로부터 2020년 6월 2일 집회요구서가 제출되었다. 임시회는 2020년 6월 5일부터 2020년 7월 4일까지 30일 동안 개회하였으며 본회의는 총 7회 개의하였다. 주요 안건으로는 국회의장·부의장 선거, 상임위원장·예산결산특별위원장 선거, 국회사무총장(김영춘) 임명승인안, 2020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대한 정부의 시정연설, 2020년도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이 있었으며 총 41건의 안건 심의를 완료하였다. 위원회의 전체회의는 33회 개의하여 총 81시간 57분 진행하였고, 소위원회는 3회 개의하여 총 4시간 44분 동안 진행하였다. 법률안은 1453건 접수되어 그 중 41건을 가결, 1건을 부결, 11건을 철회 처리하였다.[2]
제380회 국회는 제21대 국회가 구성 이후 두 번째 임시회로서 김태년, 김진애 외 181인으로부터 2020년 7월 3일 집회요구서가 제출되었다. 임시회는 2020년 7월 6일부터 2020년 8월 4일까지 30일 동안 개회하였으며 본회의는 8회 개의하여 총 16시간 35분 동안 진행하였다. 본회의에서 총 26건의 안건 심의를 완료하였으며 주요 안건으로는 정보위원장 선거, 국정에 관한 교섭단체 대표연설, 대정부질문, 방송통신위원회 위원 추천안,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등이 있었다. 위원회의 전체회의는 46회 개의하여 총 271시간 1분 진행하였고, 소위원회는 1회 개의하여 총 2시간 35분 동안 진행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등 5개 위원회에서 총 5회 청문회를 실시하기도 하였다. 법률안은 이전 회기에 제출되어 계류된 1401건을 포함하여 총 2460건이 제출되었으며 그 중 26건을 가결, 1건을 부결, 22건의 폐기, 8건을 철회 처리하였다.[3]
제381회 국회는 제21대 국회가 구성 이후 세 번째 임시회로서 김태년, 주호영, 배진교, 권은희, 김진애 외 286인으로부터 2020년 8월 14일 집회요구서가 제출되었다. 임시회는 2020년 8월 18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14일 동안 개회하였으며 본회의는 개의하지 않았다. 위원회의 전체회의는 30회 개의하여 총 174시간 30분 진행하였고, 소위원회는 14회 개의하여 총 79시간 52분 동안 진행하였다. 폐회중에도 위원회 전체회의를 1회 개의하기도 하였다. 공청회는 보건복지위원회에서 1회, 청문회는 기획재정위원회에서 1회 실시하였다. 법률안은 이전 회기에 제출되어 계류된 2583건을 포함하여 총 3260건이 제출되었으며 그 중 4건을 철회 처리하였다.[4]
참조
[1]
웹사이트
국회법 제48조
http://www.law.go.kr[...]
[2]
웹사이트
제379회국회(임시회) 경과보고서
https://www.assembly[...]
[3]
웹사이트
제380회국회(임시회) 경과보고서
https://www.assembly[...]
[4]
웹사이트
제381회국회(임시회) 경과보고서
https://www.assembly[...]
[5]
뉴스
21대 국회의장 '민주' 몫으로…박병석·김진표 도전 예상
https://www.yonhapne[...]
2020-04-16
[6]
뉴스
[선택 4·15] 21대 국회의장 '1당' 민주 몫으로…'최다선' 박병석 도전 예상
https://www.yna.co.k[...]
2020-04-16
[7]
뉴스
민주, 원내대표·국회의장 경선 선관위 구성…위원장에 김영주
https://www.yna.co.k[...]
2020-04-22
[8]
웹인용
국회법 제20조의2
http://www.law.go.kr[...]
2012-05
[9]
뉴스
"표결불사" vs "결사반대"…원구성 샅바싸움 시동
https://www.yna.co.k[...]
2020-05-12
[10]
뉴스
민주, 국회의장 박병석·부의장 김상희 공식추대
https://www.yna.co.k[...]
2020-05-25
[11]
뉴스
與, 21대 국회의장에 박병석 만장일치 추대…첫 女부의장에 김상희
https://www.donga.co[...]
2020-05-25
[12]
뉴스
21대 국회 전반기 의장에 민주 박병석 선출(종합)
https://www.yna.co.k[...]
2020-06-05
[13]
뉴스
'상임위원 정수 개정 특위' 구성안 본회의 의결…여야 합의처리
https://www.news1.kr[...]
2020-06-08
[14]
뉴스
법사위원장에 비법조인 당권파 윤호중…당내서도 “의외”
https://www.joongang[...]
2020-06-16
[15]
뉴스
상임위원장 18대0 현실화…35년만의 과반1당 체제로(종합)
https://www.yna.co.k[...]
2020-06-29
[16]
뉴스
국회 본회의 개최…민주, 상임위원장 전석 차지
https://www.yonhapne[...]
2020-06-29
[17]
뉴스
여야, 7월국회 일정 합의…16일 개원식 개최(종합)
https://www.yna.co.k[...]
2020-07-14
[18]
뉴스
[전문] 문대통령 21대 국회 개원 연설
https://www.yna.co.k[...]
2020-07-16
[19]
뉴스
국회 정보위원장에 전해철…민주 18개 상임위 독점
https://www.yna.co.k[...]
2020-07-16
[20]
뉴스
국회 10개 상임위원장 선출…국토위 등 7개 국민의힘에
https://news.kbs.co.[...]
2021-08-31
[21]
뉴스
국회 부의장에 정진석, 야당 몫 상임위원장 7명 선출
https://www.joongang[...]
2021-09-01
[22]
뉴스
총선·지방선거 출마연령 만 25→18세…본회의 통과(종합2보)
https://www.yna.co.k[...]
2021-12-31
[23]
뉴스
출마연령 만 18세로‥내년 재보선·지방선거 '고3' 후보도?
https://imnews.imbc.[...]
2021-12-31
[24]
뉴스
30대는 대통령 못하는 '장유유서 헌법'···그것만 콕 집어 개헌?
https://www.joongang[...]
2021-06-07
[25]
법률
대한민국헌법 제67조
https://www.law.go.k[...]
[26]
법률
대통령·부통령선거법
https://www.law.go.k[...]
1952-07-18
[27]
뉴스
전반기 국회 종료 1시간30분 前 추경 처리…본회의 곳곳 빈자리
https://www.yna.co.k[...]
2022-05-29
[28]
뉴스
21대 국회 후반기 의장에 5선 김진표…여야 합의선출(종합2보)
https://www.yna.co.k[...]
2022-07-04
[29]
뉴스
21대 후반기 국회의장에 김진표, 부의장에 정진석·김영주(종합)
https://newsis.com/v[...]
2022-07-04
[30]
뉴스
여야, 국회의장단 합의 구성…35일 만에 국회 정상화 시동(종합)
https://www.news1.kr[...]
2022-07-04
[31]
뉴스
18개 상임위원장 선출…후반기 국회, 53일만의 정상화
https://www.yna.co.k[...]
2022-07-22
[32]
뉴스
여야, 후반기 원구성 합의 과방·행안 1년씩 (종합 2보)
https://newsis.com/v[...]
2022-07-22
[33]
뉴스
'충청 5選' 정우택, 국민의힘 몫 국회 부의장 선출
https://newsis.com/v[...]
2022-11-10
[34]
뉴스
국민의힘 5선 정우택, 21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선출
https://www.yonhapne[...]
2022-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